암호화폐39 아발란체 Avalanche(AVAX) 아발란체(Avalanche)는 분산된 어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ation, DApp) 개발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신속한 트랜잭션 처리를 제공합니다. 아발란체는 2020년에 출시된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블록체인 프로토콜입니다. 아발란체의 탄생 배경은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마주한 속도와 확장성의 한계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자 함에 기인합니다.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 중 일부는 처리량 한계로 인해 대규모 DApp의 개발과 배포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발란체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과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하여 고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아발란체는 아발란체 Consensus Protocol(탈중앙화된 블록.. 2023. 5. 13. 리플 Ripple (XRP) 리플(Ripple)은 분산형 금융 기술과 암호화폐 기반의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리플은 2012년에 개발되었으며, 원래는 OpenCoin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리플의 목표는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개선하고, 안정적이고 신속한 국제 송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리플은 분산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일부 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를 위해 리플은 별도의 공개 분산원장인 XRP 레저(XRP Ledger)를 개발했습니다. XRP 레저는 높은 처리량과 거래 속도를 제공하며, 보안성과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리플은 초기에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금융 거래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러나 .. 2023. 5. 13. 폴리곤 polygon (MATIC) 폴리곤(Polygon)은 이더리움(Ethereum) 기반의 다중 체인 확장 프레임워크로, 블록체인 개발자들이 분산 응용 프로그램(dApps)을 구축하고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레이어 2 스케일링 솔루션입니다. 폴리곤은 초기에는 Matic Network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2021년 2월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폴리곤의 역사는 2017년에 시작되었습니다. 그 해, Jaynti Kanani와 Sandeep Nailwal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로 Matic Network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인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다중 체인 확장 솔루션으로써,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제공했습니다.. 2023. 5. 13. 클레이튼 (KLAY) 클레이튼(Klaytn)은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회사인 그라운드엑스(Ground 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클레이튼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쉽게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그라운드엑스는 클레이튼 메인넷(Mainnet)을 구축하여 2019년 6월에 공개하였습니다. 클레이튼의 역사는 2017년에 그라운드엑스가 카카오 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라운드엑스는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그라운드엑스는 카카오 그룹의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클레이튼을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클레이튼은 2019년 6월에 메인넷을 론칭하여 실제 사용자들이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구축하고 실행할.. 2023. 5. 13.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